도연명의 가상세계 세외도원의 연명산장과 소수민족의 생활상(2015.5.4)

2015. 6. 12. 10:39나의 이야기

 

 

 

 

 

 

 

운무에 가려진 도연명의 가상세계 세외도원의 전경

 

 

 

 

 

 

 

 

 

 

 

 

 

 

 

 뱃놀이 유람을 마치고 도착한 민속촌에서 바라보는

 도연명의 가상세계 세외도원

 

 

 

 

 

 

 

 

 

 

 

 

백월족에서 파생된 장족

 

 

장족은 이 곳 광서성장족자치구에서 살아가는 소수 민족 중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탓에 

이 곳 계림이 위치한 광서성은 장족자치구로 지정되어 있답니다.

 

그러나 부족의 원뿌리는 백월족에서 갈라진 소수 민족으로 먼저 올려드린

 복파산에서 언급된 복파장군의 이 지역 정복으로 중국에 복속된 소수 민족이기도 합니다.

 

 

 

 

 

 

 

 

 

 

 

 

백월족에서 파생된 묘족(미아오족)

 

 

 

 

 

 

 

 

 

 

 

 

 

 

 

백월족에서 파생된 요족(야오족)

 

 

 

 

 

 

 

 

 

 

 

 

 

백월족에서 파생된 동족

 

 

 

 

 

 

 

 

 

 

 

 

 

 

 

 

세외도원의 민속촌 입구

 

 

 

 

 

 

 

 

 

 

 

 

 

 

민속촌 입구에서 꿀차를 무료로 나누워주는 소수민족의 아가씨로

 입은 의상만으로는 종족 구분이 무척 어렵단 생각이 듭니다.ㅎ

그런데 소매 끝에 놓여진 수의 모양으론 제 짐작에 장족같다는 생각입니다.

 

먼저 올려드린 세외도원 뱃놀이에선 백월족에서 파생된 와족에 대하여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만,

이 곳 세외도원 민속촌은 이 지역에 산재하는 여러 소수민족 한 가구당 1인을

이 곳에 근무하도록 하여 농가소득에 도움을 주는 형태로 운영된다고 하니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백월족에서 갈라진 소수민족으로 생각하시는게 좋으리란 생각입니다.

 

 백월족의 여러 부족사회가 살아가는 지형 또는 관습, 풍습에 따라

오랜 세월이 지남에 따라 발생되는 차이로 변모된 까닭에

 입는 옷으로 구분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는.....ㅎㅎ   

 

 

 

 

 

 

 

 

 

 

 

 

 

 

백월족에서 파생된 소수민족 중 장족으로 보이는 소수민족의 생활상

 

 

 

 

 

 

 

 

 

 

 

 

 

 

 

무릉인의 구별법을 놓여진 자수로 구분하는 방법인 모양인데 자수라는게 정형화된 방식은 있겠지만,

 세월의 흐름에 따라 이 것도 많은 변천이 왔으리란 생각에 큰 의미를 두기엔 어렵단 생각이 듭니다.

 

 

 

 

 

 

 

 

 

 

 

 

 

 

 

 

 

 

 

 

 

 

 

 

 

 

 

 

와족들과 기념촬영을 하는 관광객들

 

 

 

 

 

 

 

 

 

 

 

 

 

 

 

 

 

세양교전경

 

 

 

 

 

 

 

 

 

 

 

 

 

 

 

 

 

 

 

 

와족들이 숭배하는 소를 수호상으로 새긴 목조각으로  

우리나라의 장승과 같은 기념물 

 

 

 

 

 

 

 

 

 

 

 

 

 

 

 

 

 

 

연명산장 안내

 

도연명의 이상적인 상상속의 산장으로 가상하여 만든 곳이랍니다.

 

 

 

 

 

 

 

 

 

 

 

 

 

배치도

 

 

 

 

 

 

 

 

 

 

 

 

도연명 석두상

 

 

 

 

 

 

 

 

 

 

 

 

 

 

 

 

 

 

 

 

 

 

 

항아리에 담긴 술이 도가애 가득차 있어 도연명의 시와 주가 어울립니다.

무릇 시인이라면 술과 시상은 늘 함께 했기에.....쩝!

이 곳 구이린은 죽통에 담아서 파는 술이 유명하더군요. 

 

 

 

 

 

 

 

 

 

 

 

 

 

한지만드는 곳

 

 

 

 

 

 

 

 

 

 

 

 

연자방아

 

 

 

 

 

 

 

 

 

 

 

 

 

 

 

 

도연명 목상

 

 

 

 

 

 

 

 

 

 

 

 

 

 

 

 

 

 

 

 

 

 

 

 

 

 

이 곳 세외도원도 예외는 아니어서 많은 한국 관광객들로 .........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쉬웠던 점은 한국어로 된 안내판이 전혀 없다는 점이........  

 

 

 

 

 

 

 

 

 

 

이번 계림 여행을 함께한 13분으로 가운데 녹색 티를 입은 분이 현지 여행사

조선족 가이드입니다만,

 이 번 여행 내내 제대로 된 여행 안내를 한적이 없던 관계로......쩝!

 

일정에 있는 목적지까지 데려다주고 태워다주는 역활 밖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