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전통적 산수미를 간직한 선몽대의 늦가을 정취를 찾아서(2015.11.12)

2015. 11. 13. 22:06나의 이야기

 

 

 

 

 

 

 

 

 

 

신선들이 노닐던 이상향의 아름다운 풍경을 지닌 선몽대의 늦가을 전경

 

 

 

 

 

 

 

 

 

 

 

 

 

 

 

 

 

선몽대 진입도로변 전경

 

 

 

 

 

 

 

 

 

 

 

 

 

 

 

 

 

선몽대(명승 제19호) 안내판

 

 

 

 

 

 

 

 

 

 

 

 

 

 

 

 

 

선몽대의 명물 소나무 숲

 

 

 

 

내성천에 있는 백송리 마을을 풍수해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조성되었거나 수구막이

 아니면 백송리의 풍수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선몽대 주변에 소나무 숲(비보림)을

  조성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 아름다운 소나무 숲 전경이랍니다.

 

 오래 전에는 자연 친화적으로 조성된 하천변의 솔밭이었으나 현재에는

내성천의 범람으로 부터 침식이 심한 탓에 소나무 숲을 보존하기 위하여

 자연석으로 축대를 쌓아 땅을 돋은 탓에 소나무가 있는 부분은 예전과 같은 높이로

자연석으로 경계를 쌓아 소나무의 성장에 지장이 없도록 가꾸고 있었습니다.

 

 

 

 

 

 

 

 

 

 

 

 

 

 

 

 

 

선대동천

 

 

 

"선몽대가 신선들이 노니는 곳 처럼  하천(내성천)에 둘러 쌓여 쌓여 아름답다라는 뜻" 

 

 

 

 

 

 

 

 

 

 

 

 

 

 

 

 

 

 

산하호대

 

"선몽대 주변의 산새와 하천의 풍수가 거침이 없이 좋다는 뜻" 

 

 

 

 

 

 

 

 

 

 

 

 

 

  

 

우암선생 유적비

 

 

 

 퇴계 이황의 종손이며 문하생인 우암 이열도(1538~1591)공이 1563년에 건립한 정자로

 "선몽대"라는 현판의 세 글자는 퇴계 이황선생의 친필로 알려져 있으며 정자내에는

 당대의 석학인 퇴계 이 황, 약포 정탁, 서애 류 성룡, 청음 김 상헌, 한음 이 덕형,

 학봉 김 성일등의 친필시(국학진흥원 보관)가 목판에 새겨져 지금 까지 전해져

 내려 오는 유서 깊은 전통 유교적 시설이기도 합니다

 

 

 

 

 

 

 

 

 

 

 

 

 

 

 

 

 

선몽대 주사 전경

 

 

 

 

 

 

 

 

 

 

 

 

 

 

 

 

선몽대를 관리하기 위하여 1967년도에 증축된 주사 건물로

 유선몽대란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사실 이 주사 증축 건물은 조선 시대 선비들의 이상향이었던 선몽대의 경관을 헤친다는 생각과

 그 당시 선비들이 왜 화려하지 않으면서 검소한 누대를 만들어 자연을 벗하려 했었는지에

 대한 정신을 훼손하였단 생각에 무척 아쉬움이 많이 들었습니다.

 

물론 유림의 입장에서야 이 선몽대를 잘 관리하고자 이 건물을 지었겠지만,

차라리 선몽대 강변 쪽의 잡목을 제거하여 퇴계 이황이 누대에 올라 지었던 싯귀의

귀절같은 그 당시의 경관을 음미해 볼 수 있는 누대로 잘 관리를 했더라면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예천에 있는 병암정 둘레에 세워진 담장이 지닌 의미라든가 청암정의 아름답고 소박함에 반했던

  제게 선몽대의 이런 부속 건물은 무척 아쉬기만 하였습니다. 

 

 

 

 

 

 

 

 

 

 

 

 

 

 

 

 

선몽대 측면 전경

 

 

 

 

 

 

 

 

 

 

 

 

 

 

 

 

 

하천변 기암위에 세워진 선몽대 전면 전경

 

 

 

 

 

 

 

 

 

 

 

 

 

 

선몽대는 2층 누대  정자 형식으로 지어 졌지만 하단부엔 자연석 암반이 있는 탓에

 실상은 단층 누대의 정자로 보는게 더 정확하답니다.

 

 

 

 

 

 

 

 

 

 

 

 

 

 

 

 

선몽대에는 누각 양편으로 2개의 방이 만들어져 있었는데 두 곳엔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어서

 추운 겨울에도 이 곳에서 기거를 하며 학문과 자연을 벗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선몽대 하단부에 근자에 증측된 주사 건물

 

 

 

 

 

 

 

 

 

 

 

 

 

 

 

 

선몽대 건물 후면 전경으로 이 곳을 통하여 선몽대를 오르내리도록 꾸며져 있었으나

누대를 오르지 못하도록 시건이 되어 진 탓에 선몽대에 올라 선인들이 느꼈던 감정을

 느껴보지 못하는 아쉬움은.......ㅎ 

 

 

 

 

 

 

솔은 늙고 대는 높아서 푸른 하늘에 꽂힌 듯 하고  

강변에 흰 모래와 푸른 벽은 그림 그리기보다 어렵구나

내가 지금 밤마다 선몽대에 기대니

전 날에 가서 기리지 못하였음을 한탄 하노라.

 

~~~~퇴계 이황이 선몽대를 기리며 쓴 헌시~~~~

 

 

 

 

 

 

 

 

 

 

 

 

 

 

 

선몽대 정면의 내성천 전경

 

 

 

 

 

 

 

 

 

 

 

 

 

 

 

 

 

 

선몽대에서 내려다 본 주사 건물

 

 

 

 

 

 

 

 

 

 

 

 

 

 

 

 

 

주사 건물의 2층 누각

 

 

 

 

 

 

 

 

 

 

 

 

 

 

 

 

 

주사 건물터에서 바라다 본 선몽대

 

 

 

 

 

 

 

 

 

 

 

 

 

 

 

 

 

 

주사 앞에서 바라다 본 송림과 내성천 

 

 

 

 

 

 

 

 

 

 

 

 

 

 

 

 

 

내성천 하류 전경으로 이 곳 하천변은 평사낙안의 백사장으로 이루워져는 있으나 오랜 가뭄 탓과

 내성천의 지형이 직강화로 바뀐 탓인지 잡풀들만 무성하게 자라 500여년 전의

 맑은 물이 흐르던 고운 백사장을 지닌 내성천이 아님에 세월의 흐름을 원망해봅니다. 

 

 

 

 

 

 

 

 

 

 

 

 

 

 

제방공사 탓인지 하천변을 오가는 트럭들  

 

 

 

 

 

 

 

 

 

 

 

 

 

 

 

 

 

선몽대 주사 전경 

 

 

 

 

 

 

 

 

 

 

 

 

 

 

 

 

 

 

내성천의 백사장에서 바라다 본 송림

 

 

 

 

 

 

 

 

 

 

 

 

 

 

 

 

 

 

 

 

내성천 상류 전경

 

 

 

 

 

 

 

 

 

 

 

 

 

 

 

 

잡목에 둘러 쌓여진 선몽대 전경으로 잡목 제거가 무척 아쉽단 생각이......  

 

 

 

 

 

 

 

 

 

 

 

 

 

 

 

 

 

 

 

내성천 평사낙안 하류 전경

 

 

 

 

 

 

 

 

 

 

 

 

 

 

 

고운 백사장으로 이루워져 있어야 선몽대를 제대로 느껴보겠지만,

 이젠 웃 자란 갈대가 키를 넘어버릴 정도로 환경이 변한 탓에.......

 

 

 

 

 

 

 

 

 

 

 

 

 

 

 

 

 

내성천 하류 전경

 

 

 

 

 

 

 

 

 

 

 

 

 

 

 

 

 

 

 

우암선생 유적비 후면 전경

 

 

 

 

 

 

 

 

 

 

 

 

 

 

 

소나무들이 생육에 지장이 없도록 자연석으로 주변에 담장을 쳐서 

성장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으나 최상책은 아닌 탓에......쩝! 

 

 

 

 

 

 

 

 

 

 

 

 

 

 

 

 

 

 

 

내성천 하류 모래 사장 전경

 

 

 

 

 

 

 

 

 

 

 

 

 

 

 

 

 

 

 

선몽대 상류 내성천의 강변 경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