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 디자인 프라자(DDP)의 모든 것을 느껴 본다.(2014.5.3)

2014. 5. 6. 13:30나의 이야기

 

 

 

 

동대문 디자인 프라자(DDP)의 감성을 사진에 담는다는 것은

 매우 흥미있고 멋진 일이란 생각이 든다.

 

 

 그 것이 엔조마리의 특별한 디자인 철학 "인간을 중심에 둔 디자인"과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찾기 위한 노력" 그리고 "유토피아를 향한 은유"

 이렇게 세 가지로 응축된 그의 동대문 디자인 프라자 디자인에는

 과연 어떤 모습의 색깔과 빛의 변화를 느껴 볼수 있을 런지 ....... 

 

 

 

 

 

 

 

 

 

 

 

 

 

 

창조의 알(조형섭 작)

 

 

 

 

 

 

 

 

 

 

 

 

 

알림터 배움터, 살림터 세 공간으로 나누워진 DDP 안내판

 

 

 

 

 

 

 

 

 

 

 

 

엔조 마리 디자인 전시장 외벽 위에 우뚝 솟은 조명탑이 이 DDP자리가

 예전 동대문운동장을 헐고서 새로 만들었음을 증명하는 듯

남겨져 옛 추억을 되새기게 한다. 

 

 

 

 

 

 

 

 

 

DDP를 만들기 위하여 동대문 운동장에 터파기를 하다가 발견된 이간수문

 

 

 

 

 

 

 

 

 

 

 

 

 

 

 

 

 

 

 

 

 

알림터 내 지하에 배치된 독특한 형상의 의자들

 

 

 

 

 

 

 

 

 

 엔조 마리의 작품이겠지만, 이렇게 시민들에게 편한 의자로 쉼터의 역활을 제공하는

 이 놀라운 변화는 디자인이 우리에게 주는 특별함이리라.

 

 

 

 

 

 

 

 

 

 

 

 

 

 

 

 

 

 동대문 유구 전시장

 

 

 

 

 

 

 

 

 

 

 

 

 

 

 

 

 

 

 

 

 

 

 

 

 어린 여자 아이들의 예쁜 모자와 천진난만함이 돋보이던

 이 한 장의 사진이 나를 미소 짓게 한다.

 

 

 

 

 

 

 

 

 

 

 

 

 

 

 

 

 

 

 

 

 

 

 

 

 

 

 

 이간수문전시장에서 열리는 엔조 마리 디자인 작품전 안내

 

 

 

 

 

 

 

 

 

 

 밀레오래에서 내려다 본 동대문 디자인 프라자(DDP)

 

 

 

 

 

 

 

 

   사실 DDP 전체를 사진에 담고 싶어 올라 갔지만,

 전체를 담는 장소로는 부적절하단 생각이......ㅜㅜ

 

 

 그렇다고 이 근처에서 건물 옥상을 개방하는 곳은 전혀 없는 것 같아

 이 사실이 나를 언짢게 하지만 관리사무소의 귀찮음도 무척 많으리란 생각에....ㅎ   

 

 

 

 

 

 

 

 

 

 

 

 

 

 

 서울시의 타요꼬마버스

 

 

 

 

 

 

 

엔조 마리의 디자인은 훌륭하고 멋졌지만,

  세 공간으로 나눈 불편함도 존재한다는 내 느낌은......

 

시민들의 접근성은 굉장히 편하다는 생각인데 반하여 볼거리를 찾아들어 가려면

 메인 입장권(9,000원)이 필요한데 각 장소마다 입장권을 보여주어야하는 불편함이 ......

 

 

차라리 매 전시공간마다 그 전시장 입구에서 즉석표를 저렴하게 구입하는 체재로 전환하든가

 무료 입장체재로 변화를 하든가 하여 시민들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역 발상이 아쉽단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