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이 살아 숨쉬는 굴업도의 아름다운 풍경들(8)

2011. 5. 24. 11:47나의 이야기

 

 

              보이는 언덕은 사구로서 해일이나 파도에의해서 형성된 것들로 이러한 지형들은 굴업도에 많았다. 오래되어 이젠 나무도 자라고 경사지엔 붉은머리 물새가 산란도 하는 보호구역이기도 하다.

                      

           아무도 걸어가지를 않은 모래해변을 나 홀로 걸어 간다는게 묘한 기분이 들 정도다. 여기에 난 발자국은 사슴들의 발자국이다. 

 

 

 

                                                                     

                                                                                   목기미 해변(사둔)을 지나오면서 뒤로 찍은 전경

               

      해안가  곳 곳마다 어구 훼손물과 스치로품, 중국에서 흘러 온 중국 쓰레기들로 어지럽다. 이젠 쓰레기도 국제적으로 해결해야되는 문제로.....

 

 

 이곳은 오래전 일제시대 때 조기와 민어가 많이 잡히던 시절 작은 마을터로  어창과 마을 그리고 근자의 군부대터 였으나  1920년대 심한 해일로 1,000여명의 인명피해가 난 뒤론  공도하 되어  그러나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서 정확하진 않다. 어쨌던 지금은 이렇게 페허로....

                                                           

                                                         여기가 붉은 모래해변 가기 바로전 굴업도에 하나 밖에 없는 습지이다.

 

                                                                 

                                                     여기 습지 둔덕 좌측 위에도 사슴  무리들이 노는게 보인다.

                                                                        

                                                  좌측에 보이는 산이 굴업도에서 두번째로 높은 연평산이다.

           

      이런 붉은 모래들은 해식와에 의해 깍인 모래이거나 이 만 앞의 해저에서 화산폭발로 생긴 화산암 모래들이 파도나 해일에 의해서 쌓였을 것으로 추정혀 본다. 

특이하게도 굴업도에서 여기만 모래가 붉은색 모래들로만.....

이 섬에서 이 부분 해저가 수심이 깊은 곳이다. 대략 50~80m 정도의 수심으로 이섬 다른 지역은 평균 15~20m의 수심으로 완만하다고 한다.

 

 

                     

      보이는 둔덕들은 예전 모래 사구들의 땅으로 아마 땅콩을 경작하던곳이지만 지금은 C.J에 매입 되었는지 걍 방치되어 있고 밭흔적으로만.....

 

 

 

 

 

 

 

 

 

 

 

    

  검은 머리 물때새로 천연기념물326호

 

 

         

                  돌아가는 길은 아침에 왔던 포장도로가 아닌 산능선을 타면서 민박집으로 갔다. 굴업도를 좀 더 상세히 보기 위해선 이런 방법들이 제일로 좋을 것 같아서......

 

 

 

                                민박집으로 아침을 먹으로 가는 길에 만난 사슴들 이 놈들은 겁도 없는 지 달ㅇ나지도 않고 나를 빤히 처다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