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31. 14:24ㆍ나의 이야기
용난굴이 위치한 어머리 해변 전경
물이 들어오고 있는 용난굴의 출입구 해변에서
중앙에 있는 골이 용난굴의 출입구인데 바닷물이 들어오는 중인지라 아쉽게도
접근을 할수가 없어 용난굴 쪽의 기암바위 위로 올라가 봅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출입구 근처까지도 접근이 안되는.....ㅜㅜ
이런 탓에 물때를 잘 맞춰야 하는데 갑자기 찾아와 며칠 머물던 옛 동료를 위하여
이곳을 찾아오다 보니 조금은 아쉽기만 합니다.
따라서 어머리 해변의 용난굴에 관해서는 먼저 올려드린
용난굴 포스팅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용난굴이 있는 어머리 해변 전경
어머리해변의 용난굴이 있는 기암을 배경으로
어머리해변 전경
정면에 바라다 보이는 해변도 경치가 좋고 차량으로도 진입이 가능하다는
주민들 이야기에 나가는 길에 돌아보기로 작정을 합니다.
용난굴 후면 야산 위에서 바라다보는 어머리 해변
용난굴 후면 야산에 등로가 보여 정상부쪽으로 해서 용난굴쪽으로 진입을
해보았으나 정상적인 등로가 아닌 탓에 포기를 하고 하산을 합니다.ㅎ
어머리해변 바로 안쪽 첫 번째 온동 해수욕장 해변 전경
신안 임자도의 갯벌 모실길의 일부인 어머리 해변 근처 지도
첫 번째 해변을 지나 비포장 길로 산 중턱으로 난 길에서 바라다보는 옥섬 쪽 해안 전경
끝부분 섬은 옥섬입니다.
첫 번째 해변을 지나 바라다 보이는 삼두리 마을 쪽 만의 전경
이곳 삼두리 마을 쪽 갯벌 해안도 무척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물 빠짐이 무척 심한 탓에 농어나 감성돔 낚시터로는 부적합하다는 생각이.....ㅎ
임자도 대광리 해수욕장의 임자도 갯벌 모실길 안내도
임자도 대광리해수욕장의 백사장 전경
임자도는 신안군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로부터 90㎞, 목포와의 거리는
66.6㎞, 지도(智島) 점암에서는 12㎞ 지점에 있습니다.
동경 126。 05", 북위 34。 05"에 위치하며, 동으로 지도읍, 남쪽으로는 자은면, 북쪽으로는
바다 건너 영광군 낙월면과 이웃하고 있으며 면적은 39.30㎢, 해안선 길이는 60㎞입니다.
북서쪽에 대광해수욕장의 해변은 12㎞로 단일 명칭의 해수욕장 가운데 가장 길고, 1970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으며 북단의 전장포는 예로부터 새우젓 집산지로 유명합니다.
지도읍에서 서쪽으로 약 3.3㎞ 떨어져 있다. 지도와의 사이에 있는 수도를 비롯해 재원도·
섬 타리·만지도 등 작은 섬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섬은 전체적으로 3각형을 이루며 토질이
사양토이므로 자연산 들깨[荏]가 많이 생산된다고 하여 임자도라 불렀다고 합니다.
고봉인 남쪽의 대둔산(320m)을 비롯해 삼각산(212m)·불갑산(224m)·조무산(206m) 등
200m 내외의 산이 곳곳에 솟아 있으며, 섬의 중앙부와 북부는 비교적 넓은 평지를
이루어 농경지가 분포합니다.
해안에는 소규모의 만과 갑이 있으며, 북서쪽 해안선을 따라
모래밭이 길게 펼쳐져 있습니다.
동쪽과 남쪽 해안의 간석지는 일부가 간척되어 농경지와 염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기후는 대체로 온난하며 북가시 나무·녹나무·후박나무·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
사철나무 등 다양한 수종이 자랍니다.
임자도 대광리 해수욕장 전경
임자도 신안 튤립공원 내부 전경
튤립이 피는 봄은 아니지만 코로나로 2년간 휴장 상태이다 보니......ㅜㅜ
제 블로그 하단부 검색창을 통하여 임자도의 불갑산과 튤립축제에 대하여
오래전에 올린 글이 있사오니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신안 튤립공원에 곱게 핀 수련
임자도 광산리 임자 전용 축구장 전경
임자도 진리항에서 바라다본 사옥도와 증도대교 전경
임자도 하우리 항에서 바라다 본 임자도와 수도 사이의 갯벌
하우리항에서 바라다 본 임자대교 전경
임자도 하우리항 방파제와 옥섬 전경
사실 이곳은 바다낚시 장소를 탐색하기 위하여 찾았던 곳으로 수심도 좋고 갯바위도 있어
좋아 보였으나방파제 확장 보수 공사 중인지라 흙탕물이 심하게 흐르는 탓에 조금은
아쉬웠던 장소였었습니다.
임자도 하우리 항 부근의 대섬 전경
하우리항 방파제 하단부의 갯바위 해안 전경
전장 포로 가는 임자도 도찬리 길옆의 대파밭 전경
임자도의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콩·감자·마늘·참깨·고추 등이 있고,
최근에는 양파와 대파 농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예전에 비해 어획량은 줄어들었지만 근해에서는 농어·돔·병어·민어·장어·새우
등이 어획되고, 김 재배도 성합니다.
전장포 마을 뒤편 솔개산 기슭의 토굴은 새우젓 천연 저장소 역할을 해
새우젓 생산지의 명성을 잇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임자도 대파 산단 전경
임자도 전장포항 전경
전장포항 앞의 만지도
예전에는 섬이었다가 근자에 육지가 된 임자도, 수도의 지도
임자도 진리항에서 바라다본 임자 제1대교 전경(임자도와 수도 연결)
신안 수도 휴게소에서 바라다본 임자 제2대교 전경(수도와 지도 연결)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세 달 살기 들어 갑니다. (0) | 2022.03.21 |
---|---|
무안 초의 선사 탄생지(신안 세달살기 2021.10.14) (0) | 2022.02.03 |
완도의 모감주 나무 군락지와 해남 오산어촌 체험마을 노둣길의 바다낚시(신안 세달살기 2021.11.10~11.11) (0) | 2022.01.30 |
국립중앙박물관의 주요 전시 작품들(2022.1.27) (0) | 2022.01.29 |
두루 헤아리며 생각에 잠기는 시간 사유의 방(국립중앙박물관 2022.1.27) (0) | 202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