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2. 1. 00:14ㆍ나의 이야기
프로메티우스 신화가 서린 고라 카즈벸(5,053m) 구릉 언덕에 세워진 츠민다 사메바교회 전경
카즈베키 주차장에서 사륜구동 차량으로 옮겨타고 츠민다 사메바교회로 향합니다.
저희가 타고 다니는 벤츠 스프린터 17인승 차량으로도 얼마던지 그 곳으로 오르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였는데 왜 이 곳에서 굳이 사륜차량으로 갈아타고 오르는지에 대하여서는
약간의 의문이 들었지만 이 곳 지역민들을 위한 돈벌이거나 아니면 패키지 여행업계의
돈벌이 수단중 하나란 생각이......
암튼 우리가 탄 사륜 차량으로 교회밑 주차장까지 구불구불한 도로를 따라 30여분을
달려 도착을 하니 교회 하단 주변에는 수 많은 차량들이 정차해 있습니다.
교회는 14세기 때 건립한 모습 그대로 였었는데 교회 아래로는 게르게티마을이 훤하게
내려다 보이는 까닭에 조망치고는 너무 아름다웠습니다.
전쟁이나 재난 시에 조지아의 귀중한 유물들은 이 사메바교회에 보관해서 난을 피했다고 하는데
그 만큼 이 곳은 조지아인들에게는 성스러운 곳이었던 까닭에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과
외국에서 찾아 온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었습니다.
절벽 아래로 바라다보이는 스테판 츠민다 마을 전경과 올려다보는 고라 카즈벡산의 만년설 풍광,
그리고 그 길을 따라 걷는 트레커들에게 왜 이곳이 조지아 최고의 여행지로 꼽히는지를
대변해 주는 듯 하였습니다.
주차장에서 바라다 본 고라 카즈벸(5,053m) 전경
교회 내부는 촬영불가인 탓에 출입문 앞에서 .....ㅎ
고라 카즈벸을 뒤로하고 인증 샷을.....
교회주변 잡석들을 제거하는 조지아 정교 사제들로 주민들과 평등하게 땀을 흘리며
일을 하는 모습이 참다운 교회상 같은 느낌이 들어 좋아보였습니다.
츠민다 사메바 교회에서 내려다보는 스테판 츠민다(카즈베키) 마을 전경
한국에 백두산이나 한라산이 있다면 조지아엔 마운틴 카즈벡Khazbeg(5,053.9m)이 있습니다.
조지안들의 수많은 신화와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카즈벡산은 조지아인들에겐 성산(聖山)과
같은 존재로 먼저 이야기한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프로메테우스와도 연결됩니다.
츠민다 사메바교회는 절묘한 장소인 카즈벡산 자락 조그만 봉우리 정상에
수도원을 지은 탓에 어 마을을 내려다볼 수가 있습니다.
외부에서 처들어 온 적의 침범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일종의 망루 역할을 했던 곳으로
보여지는데 14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미뤄 오스만투르크 전성기와 맞물려 있습니다.
4세기에 세계에서 최초로 기독교 국가로 공식 승인받았다고 하니 당연히 오스만 트르크
이슬람 세력의 거센 침략을 받았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 지역의 대다수 교회들이 높은 산속이거나 아니면 깊은 계곡의 협곡안 또는 동굴같은 곳에
위치해 있다는 것은 이를 역설적으로 증명한다고 하겠습니다.
카즈벡산은 코카서스Cacusus산맥에서 7번째 높은 봉우리로 첫 번째가 유럽 최고봉
엘브루스Elbrus(5,642m). 조지아에서는 시카라Shkhara(5,193m)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산입니다.
몇 년 전까지 융가Janga(5,051m)가 두 번째였고, 카즈벡은 5,033m 또는 5,047m 등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2019년 5월 조지아 정부가 직접 실측한 결과 5,053m로 확정 발표되었습니다.
카즈벡의 뜻은 그루지야어로 "Glacier Peak" 또는 "Freezing Cold Peak"를 의미하는데
즉"얼음산"이나 "빙하봉", "만년설산" 등으로 불리워집니다.
코카서스산맥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평가받으며 1868년 영국 산악인
더글라스 프레시필드가 최초로 등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79년 소련에 의해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다시 사륜 차량으로 마을 어귀 주차장으로 내려가는 길에 츠민다 사메바 교회가 잘보이는 구릉지대
하단부 주차장에서 차를 세워 츠민다 사메바교회와 주변 풍광을 앵글에 담아봅니다.
구릉에 방목된 소들
코카서스는 산악지대가 많아 소들이나 양들을 많이 키우지만 치즈나 우유생산이
주 목적인지라 육우가 적은 탓에 고기가 질겨서인지 즐겨 먹지를 않는다는 생각이
여행 내내 많이 들었는데 아마 이런 제 느낌은 오스만 트르크 지배하의 종교적인
영향도 조금 가미가 되었을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리고 이 지역 자체가 대부분 건조한 지역인데다가 이런 산악지대에서만 가축을
기르다보니 긴겨울을 나려면 많은 건초를 겨울이 오기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하였기에
소를 기른다는 것은 많은 일손이 필요해서 더욱 그러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 이 지역은 이슬람 문화권과 충돌이 많았던 지역이다보니 식량 수급이 원할하지 않았던 탓에
돼지마져도 사료가 많이 들어가다보니 기르기가 힘들었고 이슬람 문화의 영향으로 잘먹지 않았던
것으로 여겨져 주로 육식은 닭고기나 양고기 위주로 해결했던 것으로 짐작을 해봅니다.
14세기에 세워진 복음 성지 삼위일체 게르게티 츠민다 사메바 교회는 해발 2170m
산 중턱에 세워져 있는 카즈벡 여행의 성지로 그 주변풍경은 아름다워서 경이로움과
감탄이 저절로 나옵니다.
츠민다 사메바 교회를 돌아보고 마을 어귀 주차장 하산하여
바라다보는 우측의 츠민다시메바 교회전경
이제 다시 왔던 길을 되돌아 구다우리에 있는 마르코 폴로 호텔로 향합니다.
오늘은 오후 늦은 일정이 없는 까닭에 호텔에 도착하면 조금 여유롭게
오후 늦은 시간을 줄겁게 보낼 예정입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지아 므츠헤타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 주변의 조지안 광장(2019.8.22~23) (0) | 2019.12.06 |
---|---|
코카서스의 아름다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구다우리 마르코 폴로호텔(2019.8.22) (0) | 2019.12.02 |
프로메테우스 신화가 전해져오는 카즈베키산(2019.8.22) (0) | 2019.11.27 |
조지아 진발리 호숫가의 아나누리성채(2019.8.22) (0) | 2019.11.20 |
가을비내리는 내소사와 채석강(2019.11.17) (0) | 201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