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의 숨겨진 아름다운 풍경들(2019.2.11)

2019. 2. 12. 22:30나의 이야기










경복궁 집옥재 일원




집옥재는 신무문 동쪽에 있으며 앞면 5칸, 옆면 3칸의 단층 맞배집입니다.


 연판 등으로 장식된 높은 기단 위에 서 있으며, 초석 위에는 고복석을

 사용해 다른 건물과는 다른 면을 보여줍니다.


 기둥 위에 안초공을 사용했으며, 두공은 다포식으로 첨차의 내외와

양측면에 섬세한 파연초를 조각했습니다.


 행공첨차는 운두가 매우 높아서 소로가 다른 건물에 비해 높습니다.


건물 전면의 툇간을 전부 개방하고, 양측면은 박공마루까지 전벽을 쌓았고,

 8쌍의 쌍공을 만들었음이 특이합니다.


 전체적으로 경복궁 내의 다른 건물에 비해 중국적인 면을

 많이 지녔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경복궁 관람 안내도





















수문장 교대식  종료 행사 사진 



















흥례문 전경


















근정문




















경복궁 근정전(국보 제223호) 전경





경복궁은  사적 제117호. 조선의 정궁으로 정연한 배치체계를

갖춘 궁궐로 북궐이라고도 합니다.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삼으면서 건설한 것으로 〈시경〉의

 "왕조의 큰 복을 빈다"는 의미를 따 이름을 지었습니다.


 5대 궁궐 중 가장 먼저 지어졌으나 임금이 거주한 기간은 길지 않습니다.


궁궐 내부는 정문인 광화문으로부터 홍례문과 근정문과 향오문을 일직선 상에 배치했습니다.


 이 사이 공간은 정사를 보고 의식을 행하는 업무공간입니다.


 향오문 뒤에는 제반시설이 자리한 후원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여러 차례 화재 피해를 겪어 이에 대한 복구가 거듭되었는데 일제 강점기에 원래 건물을

 해체하는 등 본래 모습을 잃었으나 1996년 옛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하면서

 일부가 복구되었습니다.


 현재 다양한 국보·보물급 건축물과 석조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경복궁이 자리 잡은 위치는 도성의 북쪽 북악산 기슭으로

풍수지리설에 입각한 주산(主山)의 바로 아래입니다.


궁의 전면으로 넓은 시가지가 전개되고 그 앞에 안산(案山)인 남산이 있으며

 내수(內水)인 청계천과 외수(外水)인 한강이 흐르는 명당(明堂) 터입니다.


궁의 왼쪽으로 종묘가 있고 궁의 오른쪽에 사직단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는 중국에서 고대부터 지켜져 오던 도성 건물배치의 기본형식인

 좌묘우사(左廟右社)를 따른 것입니다.





















하향정 전경


















하향정




















하향정 전경

















경회루(국보 제224호)



경회루가 갖는 건축적 특징은 평면구조·칸수·기둥수·부재길이 및 창의 수 등에

 〈주역〉의 이론을 적용해 신선의 세계를 만들려고 했다는 것입니다.


 1865년 정학순이 쓴 〈경회루서〉에 건물의 세부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경회루는 기능의 완전성과 독립주에 의한 아름다운 비례의 건축미를 자랑하며,

더욱이 주변 산봉과 서로 어울려 연못에 반영된 절묘한 경관은

 누각 건축의 백미입니다.



























보호막으로 가려진 향원정




 아직도 수리중에 있는 향원정으로 수리기간이 상당히 길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제 시대에 잘못 놓여진 교각을 바로 잡는다는 이유이지만  경복궁의 백미 하나가

 이렇게 오랜 기간 보호막으로 쳐져 있다는 것은 ......ㅜㅜ  





















향원정 



           

고종이 건청궁에 기거하던 1867년 경회루 서북쪽에

 연못을 파고 그 중앙에 지은 것입니다.


건청궁과 향원정 사이에 다리를 놓아 취향교라 했는데, 이 다리는 6·25전쟁 때

 파괴되고 현재의 다리는 1953년 남쪽에 새로 놓은 것입니다.


정자는 정육각형으로 장대석으로 된 낮은 기단 위에 육각형의 초석을 놓고

그 위에 1·2층을 관통하는 육각기둥을 세웠습니다.


1층에는 평난간을, 2층에는 계자난간을 두른 툇마루가 있습니다.


겹처마이며, 추녀마루들이 모이는 지붕의 중앙에

 절병통을 얹어 치장했습니다.























신무문 전경



















함화당 승광문옆에서 바라다 본 국립민속박물관  전경
























집경당 출입문


























경회루 출입교각에 장식된 코끼리상 전경




경회루의 돌다리 출입 교각에 장식된 코끼리로 인도의 힌두신중 하나인 가네샤로 추정되는데

 이런 짐작은 불교의 전래에 따라 자연스럽게 우리 문화속으로 스며들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만인 여행객


























건춘문 전경



















※ 경복궁에 관해서는 수 차례에 걸쳐 제 불로그에 올린적이 있었던 탓에

 오늘은 아름다운 사진으로만 보아주셨으면 합니다.


경복궁의 역사나 해설에 관해서는 제 불로그 하단 검색창을

 통하여 확인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