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안동에 가려진 예천의 향학 열기(옥천,신천,노봉서원)를 느껴 본다.(2015.11.12)

2015. 12. 4. 14:26나의 이야기

 

 

 

 

 

 

 

 

추색에 물들은 옥천서원의 전경

 

 

좌 안동 우 함양에 가려진 예천은 의외로 학문을 숭상하던 선비들이 많았던 탓인지는 몰라도

 조정의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을 하게되면 고향으로 돌아 와 후학들과 후손들의 교육을 위하여 

지역 유지들과 합심하여 사비를 충당하여 건립한 서원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오늘은 예천에서 제법 알아주는 큰 서원들을  돌아보며 이 들이 후학들과 후손들의 교육을 위하여

 건립한 서원의 건립 배경과 그 들이  교육을 통하여 얻고자 하였던 사상을 느껴 봅니다.

 

 

이번 여행에서 제일 먼저 들린 옥천서원은 예천군 감천면 덕율리에 있는 서원으로

서하 임춘, 절효 반유, 서암 태두남,매포 송복기 등 4인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원래의 서원은 보문면에 있었으나 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던 것을 50년이 지난 1985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 하였다고 합니다.

 

 

경내에는 강당인 명교당,함양재,흥학재,사당인 상현사,주사채 등

  건물 5동으로 이루워져 있습니다.

 

임춘은 고려 의종 때의 문인으로 강좌칠현(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비유)중

 한 사람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가전체 소설인 국순전,공방전을 지은 사람입니다.

 반유는 고려 말 조선 초의 효자이고, 태두남은 조선 중기의 청백리로 명성이 높은

 문신이며 송복기는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오로지 후진 양성과

 임진왜란에 큰공을 세우고 전시 민심수습에 힘썼던 분이라고 합니다.   

 

 

 

강좌칠현: 청담풍의 이인로,오세재,이문,조통,황보항 ,함순,이담지 등 일곱 분의 선비를

일컬으며 이들은 서로 의를 맺어 망년지우를 삼고 시와 술을 즐겼다고 합니다. 

 

 

 

 

 

 

 

 

 

 

 

 

 

 

옥천서원의 정원

 

 

 

 

 

 

 

 

 

 

 

 

 

옥천서원의 전경

 

 

 

 

 

 

 

 

 

 

 

 

 

 

 

개도문(깨우처 이끄는 곳이란 뜻)

 

 

 

 

 

 

 

 

 

 

 

 

옥천서원의 유래 안내판

 

 

 

 

 

 

 

 

 

 

 

 

 

 

 

옥천서원에서 내려다 본 마을 전경

 

 

 

 

 

 

 

 

 

 

 

 

 

 

옥천서원 정원의 향나무  

 

 

 

 

 

 

 

 

 

 

 

 

 

 

 

 

 

옥천서원의 개도문이 항상 굳게 닫혀 있는 까닭으로 이 곳을 찾는 관광객들이 측면 언덕 방향으로

 이 곳 서원을 출입을 했던 탓인지 길이 나 있어서  저도 이 곳을 통하여 서원 안으로 들어가 봅니다. 

 

 

 

 

 

 

 

 

 

 

 

 

 

 

 

측면 언덕 구릉에서 내려다 본 옥천서원

 

 

 

 

 

 

 

 

 

 

 

 

 

 

 

상현사(사당)

 

 

 

 

 

 

 

 

 

 

 

 

 

 

주사채

 

 

 

 

 

 

 

 

 

 

 

 

 

 

옥천서원 내부 전경

 

 

 

 

 

 

 

 

 

 

 

 

 

 

강당 우측 흥학재

 

 

 

 

 

 

 

 

 

 

 

 

 

 

옥천서원 강당 (명교당)전경

 

 

 

 

 

 

 

 

 

 

 

 

 

 

강당 좌측 함양재

 

 

 

 

 

 

 

 

 

 

 

 

 

 

 

 

상현사

 

 

 

 

 

 

 

 

 

 

 

 

 

 

 

 

주사채 후면

 

 

 

 

 

 

 

 

 

 

 

 

 

 

 

주사채 측면

 

 

 

 

 

 

 

 

 

 

 

 

 

 

 

서원뜰에서 내려다 본  개도문(출입문) 안쪽  전경

 

 

 

 

 

 

 

 

 

 

 

 

 

 

 

 

 

 

주사채 전면 전경

 

 

 

 

 

 

 

 

 

 

 

 

 

 

 

 

 

신천서원의 전경

 

신천서원은 예천읍 왕신리에 있는 서원으로 의성 김씨 문중 소유로 조선 초기 익대좌명공신인

 맹암 김영렬(1370~1422)의 유지를 받들고 후손을 교육 시키기 위하여 1945년에 건립되었습니다.

 

경내에는 재향 공간인 사당(경훈사)과 강학 공간인 강당을 비롯한 남덕문,

출입문 등 4동의 건물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사당인 경훈사에는 조선 태종의 어필인 단서와 맹암의 영정이 모셔져 있습니다. 

 

 

 

 

 

 

 

 

 

 

 

 

 

 

신천서원 안내판(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39호)

 

 

 

 

 

 

 

 

 

 

 

 

 

 

 

김영렬 좌명공 신교서 및 회맹록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5호) 

 

 

 

 

 

 

 

 

 

 

 

 

 

 

 

 

 

천서원 강학 공간인 강당 전경

 

 

 

 

 

 

 

 

 

 

 

 

 

 

 

강당 내부 전경

 

 

 

 

 

 

 

 

 

 

 

 

 

 

 

 

주사채

 

 

 

 

 

 

 

 

 

 

 

 

 

 

강학공간인 강당 측면 전경

 

 

 

 

 

 

 

 

 

 

 

 

 

 

 

사당 출입문(남덕문)

 

 

 

 

 

 

 

 

 

 

 

 

 

 

 

경훈사 사당 전경

 

 

 

 

 

 

 

 

 

 

 

 

 

 

사당 (경훈사)

 

 

 

 

 

 

 

 

 

 

 

 

 

신천서원 전경

 

 

 

 

 

 

 

 

 

 

 

 

 

 

경외에 있는 신도비

 

 

 

 

 

 

 

 

 

 

 

 

 

 

 

노봉서원의 전경

 

 

예천군 호명면 향석리에 있는 노봉서원은 안동 권씨 문중이 관리 소유하는 서원으로

 1794년(정조 18년)에 처음 건립되었으며 노봉서원이란 이름은 단종(노산군)을 숭상하는

 선비들이 건립하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현재 건물은 몽양재란 현판이 붙은 강당,숭의사,존사소,정문,신도문등 5개동으로

 봄과 가을에 안동권씨 문중에서 향사를 지냅니다.

 

권산해의 충절을 기리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한 노봉서원은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양위하자

불사이군의 뜻으로 관직을 버렸는데 이 후 사육신이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고향 예천으로 돌아 와 지붕위에서 투신 자결 하였다고 합니다.

 

 1791년에 권산해는 이조참판에 1884년에 이조판서에 추종되었고

시호는 충민이라고 하였습니다. 

 

 

 

 

 

 

 

 

 

 

 

 

 

 

 

 

노봉서원(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40호) 안내판

 

 

 

 

 

 

 

 

 

 

 

 

 

 

존사소

 

 

 

 

 

 

 

 

 

 

 

 

 

 

 

 

강당의 우측인 몽양재

 

 

 

 

 

 

 

 

 

 

 

 

 

 

 

 

 

강당의 좌측인 건양재

 

 

 

 

 

 

 

 

 

 

 

 

 

 

 

숭의사 사당 정면

 

 

 

 

 

 

 

 

 

 

 

 

 

 

 

숭의사

 

 

 

 

 

 

 

 

 

 

 

 

 

 

 

 

숭의사 측면전경

 

 

 

 

 

 

 

 

 

 

 

 

 

 

노봉서원 강당 후면 전경

 

 

 

 

 

 

 

 

 

 

 

 

 

 

 

노봉서원 강당 측면 전경

 

 

 

 

 

 

 

 

 

 

 

 

 

 

 

 전기청

 

 

 

 

 

 

 

 

 

 

 

 

 

 

 

숭의사 전경

 

 

 

 

 

 

 

 

 

 

 

 

 

 

 

노봉서원 앞 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