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비가 내리던 금강의 벼룻길과 잠두마을 옛길을 따라 걸으며.1(2017.4.15)
벼룻길의 가장 아름다운 구간 중 하나인 각시바위동굴 근처의 아름다운 금강변 전경
벼릇길이란 강가나 바닷가 낭떠러지로 통하는 비탈길이란 뜻이며 조항산자락의
금강 벼릇길은 굴암 마을의 대뜰 (넓은들)에 물을 대기위해서 광복 이 전에 놓은
농수로인데 시간이 지나며 다니다보니 자연스레 길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민들은 이길을 보뚝길이라고 불렀습니다.
부남면 대소리에서 율소(밤소)마을로 이어지는 길로 밤소 마을로도 불리는 율소 마을은
실제로 밤나무가 실제로 많은 강마을로 이 곳에서 대티교 삼거리와 굴암리를
거쳐 잠두2교 까지는 강변을 따라 아스팔트 도로가 5km 정도 이어져 있습니다.
벼룻길 트래킹 코스 안내도
벼룻길의 첫 출발점은 도소마을회관부터 시작을 해야하였으나 그 구간은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강변을 바라보니 크게 아름답다는 생각이 안들어 대소마을에서 겯기를 시작합니다.
다만 그 구간 중 백미인 대문바위 근처 까지는 역으로 다시 내려가서 앵글에 담아봅니다.ㅎ
금강 벼룻길+잠두마을 옛길
금강 마실길은 무주 부남면에서 시작해 벼룻길,잠두옛길 등을 거쳐 서면마을까지 이어지는데
벼룻길의 길이는 짧지만 벼룻길은 강가나 바닷가의 낭떠러지로 통하는 비탈길을 말하며
각시바위가 있는 전설이 전해지는 길입니다.
각시바위를 뚫고 지나가는 길은 자연적으로 생긴 동굴이 아니라
농부들이 일일이 정으로 쪼아서 만든 인공 동굴로 지름길로 이어지는 길입니다.
두번째 이어지는 길은 강변 옛길로 옛길에서 내려다보는 마을이
누에의 머리를 닮았다고 해 "잠두(蠶頭)"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시골 옛길의 정취를 맛볼수 있고 흐르는 강을따라 걸으면 벚꽃 삼매경에 빠질 수 있기에
이 맘 때 쯤이면 이 곳을 찾는 트래킹족들이 많답니다.
길 양편으로 벚나무가 터널을 이루고 봄철에만 볼 수 있는 강변의 연두빛 잎파리들...
흙내음과 청아한 새소리를 들으며 휘감아 돌아 흘러가는 맑은 금강 물줄기를 바라보며
걷기엔 아주 좋은 힐링코스입니다.
연초록으로 물들어 가는 무안 금강변 벼룻길의 대문바위 전경
대문바위가 바라다보이는 금강 강변에서 출발 인증샷을 찍어 봅니다.
오늘은 올 해들어 가장 무더운 날이라는 생각이.....
어제만 하여도 일기 예보상으론 이 지역에 오전에 약간의 비가 내린다는 예보가 있었으나
예보는 빗나갔는지 쾌청하기만 합니다.
대소마을 전경
대소마을의 천문대 전경
포켓공원 전경
금강변에는 올해들어 날이 무척 포근한 탓인지는 모르지만 철이른 카약킹을 즐기는
회원들이 금강물을 따라 물놀이를 즐깁니다.
출렁다리
벌써 길가엔 고사리도 보이고 파스텔톤으로 변해가는 연초록 물결이 아름답기만 합니다.
길가엔 복숭아꽃도 만개하여 아름다움을 더합니다.
강변 길가에는 곱게 핀 할미꽃이 여기 저기 피어 있는 것을 보면 아직 이 곳 벼릇길은
그렇게 사람들의 손 때가 타지 않은 도보길이란 생각이 듭니다.
이대로 잘 보존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강건너 반대편의 벼릇길 전경
오늘 이 길을 걷기 위하여 온 산악회나 트래킹 클럽들이 무척 많은 탓에
벼룻길 외길은 다소 정체가 일어 나기도 합니다.
각시바위 전경
천의를 잊어 버린 선녀가 변해서 굳어 버린 각시바위가
각시소 위에 고운 반영으로 어립니다.
각시바위 굴 앞쪽에서 걸어 온 길을 되돌아보니 벼룻길 강변은 연초록으로 물들어
맑은 금강물과 어우러져 참 아름답기만 합니다.
파스텔톤으로 물들은 버드나무의 연초록 고운 반영이 금강 물위에
어려 한폭의 수채화를 연상시킵니다.
각시바위 동굴 입구 전경
각시바위동굴은 성인들 키가 닫을 정도의 높이라서 머리가 닫지 않도록
조심해서 굴을 통과하여야 합니다.
각시바위의 전설 안내판
각시동둘을 빠져 나오면 바라다 보이는 금강변의 복숭아 과수원의 복숭아꽃이 만개를 하여
금강의 맑은 물과 어루러져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 줍니다.
밤소체육공원 정자각에서 간단하게 라면을 꿇여 허기진 배를 채우고
갈증난 목을 막걸리 한 잔으로 축여 봅니다.
이런 맛에 트래킹을 즐기는 것이 겠지만 그 맛은......ㅎㅎ
밤소체육공원에 있는 안내판
무주수련원
무주수련원 전경으로 이 구간이 벼룻길과 잠두마을 구간중에 제일 나쁜 코스로
포장도로를 따라 걸어야하는 구간으로 제일 걷기가 싫은 코스입니다.
율소마을 이정표
아스팔트길을 따라 걷기엔 힘이 들지만 그래도 가는 길가엔 이렇게 예쁜 복숭아 꽃이
만개를 한 탓에 지루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상굴암
상굴암 강 건너편에는 곱게 핀 복숭아꽃이 만개하여 한폭의 수채화를 연상시킵니다.
도연명의 도화원기가 생각나는 것은 금강 벼룻길이 제게 주는 고운 느낌
때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찍은 사진이 많은 탓에 총 2편으로 올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