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돌담길 따라 가을에 물들어 가는 금당실마을의 아름다운 전경들(2015.11.12)

뽀다구 2015. 11. 17. 14:43

 

 

 

 

 

 

 

 

 

 

작은 돌담 사이로 가을에 물들어 가는 정겨운 한옥마을 금당실은 오랜 전통을 지닌

 영남의 선비 문화를 오랫 동안 지키고 간직해 온 작고 아담한 마을입니다.

 

지난 번 예천여행에서 시간에 쫓긴 탓에 이 곳을 지나가면서도 미쳐 돌아보지 못하였기에

 오늘은 일부러 시간을 내서 잠시 들려봅니다.

 

 

 

 

 

 

 

 

 

 

 

 

 

 

 

 

 

금당실마을 안내도

 

 

 

 

 

 

 

 

 

 

 

 

 

 

 

 

 

예천군 용문면주민자치센터 앞에 쓰여진 돌비석에 쓰여진 용도천문 

 

 

"용이 하늘의 문에서 뛰논다" 란 뜻으로 이 곳 용문면이 용이 뛰어 노는 곳 처럼

 발전하기를 바라는 기원을 담은 것으로 보입니다.

 

 

 

 

 

 

 

 

 

 

 

 

 

 

 

 

 

 

 

금당실 마을이 십승지임을 알리는 기념비

 

 

 

한국의 천하 명당 십승지는 조선 최대의 예언서 정감록에서 말하는 3재(전쟁,흉년,전염병)가

 들어 올 수 없는 곳으로  땅의 기운이 좋아 청정하고 안전한 지역을 일컷는 말이랍니다.

 

 

 

어제 저녁 혼자 차를 몰아 예천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문경의 지인 자택에서

쐬주 한 잔에 취하여 잠을 청한 후 이른 새벽에 일어나 애마를 몰아 돌아 본 곳은

 충효사상이 깊은 고장 예천으로 여행 마무리 길에 잠시 들려 본 금당실 마을은

 물위에 떠있는 연꽃을 닮아 아름다운 곳으로 돌담길을 따라 유유자적

 담소를 나누며 걷기엔 아주 좋은 곳 같았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금당실 마을의 가을빛 속으로 들어가

 금당실마을의 속살을 헤쳐봅니다. 

 

 

 

 

 

 

 

 

 

 

 

 

 

 

 

 

 

 

 

용문면 자치센터 앞에 서있는 보호수

 

 

 

 

 

 

 

 

 

 

 

 

 

 

 

 

이젠 이런 시골엔 노인들이 돌아가시고 나면 이렇게 방치가 되어

 폐가들이 많아지는 탓에 조금 을씨년 스럽기도합니다.

 

 

 

 

 

 

 

 

 

 

 

 

 

 

 

 

돌담 사이로 바라다 보이는 폐가와 스레이트 지붕 너머로 보이는

노오란 은행나무가 주는 묘한 황량함이 내 시야를 잡아 끕니다.

 

 

 

 

 

 

 

 

 

 

 

 

 

 

 

 

 

 

 

 

 

 

 

청곡당 안내판

 

 

 

 

 

 

 

 

 

 

 

 

 

 

 

 

청곡당 행랑채 전경

 

 

 

 

 

 

 

 

 

 

 

 

 

 

 

 

 

청곡당 사랑채 전경

 

 

 

 

 

 

 

 

 

 

 

 

 

 

 

 

 

 

사랑채엔 익어가는 곳감이 매어 달려 가을의 운치를 더하고 협문 사이로 안채가 바라보이지만,

 현재 사람들이 사는 집이라 엿보기가 민망스러워 포기를 합니다.

 

사실 솔직히 이야기를 하면 이 집엔 행랑채와 사랑채 사이에 커다란 개 한 마리가

 짓는 탓에 무척 시끄러워서 포기를 한 것이지요.ㅎ^^*

 

 

 

 

 

 

 

 

 

 

 

 

 

 

 

 

 

 

 

 

남야선생 사당 안내판

 

 

 

 

 

 

 

 

 

 

 

 

 

 

 

 

남야선생 사당(담장에서 촬영)

 

 

 

 

 

 

 

 

 

 

 

 

 

 

 

 

 

 

 

 

 

 

 

 

 

 

 

 

 

 

 

 

 

 

 

반송재 고택 안내판

 

 

 

 

 

 

 

 

 

 

 

 

 

 

 

 

 

반송재 고택 행랑채 전경

 

 

 

 

 

 

 

 

 

 

 

 

 

 

 

 

 

반송재 사랑채 전경

 

 

 

 

 

 

 

 

 

 

 

 

 

 

 

 

 

 

사랑채에 걸린 현판의 반송재란 글은 1680년대의 김정작

 

 

 

 

 

 

 

 

 

 

 

 

 

 

 

사랑채 옆 모과나무에는 노랗게 잘익은 모과가 주렁주렁 매어 달려

 가을이 깊었음을 알려줍니다.

 

 

 

 

 

 

 

 

 

 

 

 

 

 

 

 

송재 사랑채와 안채 전경으로 사랑채에서 안채로 통하는 작은 협문은 랑채 쪽에 1개소와

 사랑채 측면 쪽에 1개소가 있어서 출입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있습니다.

 

 

 

 

 

 

 

 

 

 

 

 

 

 

 

안채 전경

 

 

 

 

 

 

 

 

 

 

 

 

 

 

 

 

 

안채의 부엌과 안방 전경

 

 

 

 

 

 

 

 

 

 

 

 

 

 

 

 

안채에 딸린 행랑채 전경으로 이 곳에서 출가하지 못한 어린 여식들이나 자녀들이  

기거를 하며 지내던 곳이란 생각이 듭니다.

 

 

 

 

 

 

 

 

 

 

 

 

 

 

 

 

 

안채에 부속된 창고와 디딜방앗간

 

 

 

 

 

 

 

 

 

 

 

 

 

 

 

 

사랑채 후면 전경

 

 

 

 

 

 

 

 

 

 

 

 

 

 

 

 

 

 

안채 후면전경

 

 

 

 

 

 

 

 

 

 

 

 

 

 

 

 

안채 후면의 텃밭

 

 

 

 

 

 

 

 

]

 

 

 

 

 

 

노랗게 잘익어 주렁주렁 매어 달린 모과

 

 

 

 

 

 

 

 

 

 

 

 

 

 

 

 

 

사랑채 옆에 안채로 통하는 작은 협문 앞에는 작은 우물이 있고

그 앞에는 고운 단풍나무가 있는 탓에 바닥엔 빨간 낙엽이 떨어져

 피빛으로 바라다 보입니다.

 

 

 

 

 

 

 

 

 

 

 

 

 

 

 

 

 

 

돌담사랑 민박집 전경

 

 

 

 

 

 

 

 

 

 

 

 

 

 

 

 

돌담사랑 민박집 정원으로 반송재 와 담을 마주하고 있는 탓인지

그런대로 고즈넉한 위기를 느끼며 지낼 수 있으리란 생각이 듭니다.

 

 

 

 

 

 

 

 

 

 

 

 

 

 

 

 

우천재 안내판

 

 

 

 

 

 

 

 

 

 

 

 

 

 

 

 

우천재 행랑채 전경

 

 

 

 

이 곳 금당실마을 고택들의 특징 중 하나는 사랑채 앞에 행랑채가 다 초가로

지어져 있다는게 다른 고택들과는 차이가 있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답니다. 

 

 

 

 

 

 

 

 

 

 

 

 

 

 

 

 

 

우천재 사랑채 전경

 

 

 

 

 

 

 

 

 

 

 

 

 

 

 

 

 

사랑채에 놓여 있는 기와엔 호랑이 한 마리가 그려져 있는데 그린 솜씨가

예사롭지 않은 탓에 아마 이집 주인장은 전문 화가란 생각이 듭니다.

 

 

 

 

 

 

 

 

 

 

 

 

 

 

 

 

사랑채 굴뚝이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는게 참 독특하단 생각이 듭니다.

 

 

 

 

 

 

 

 

 

 

 

 

 

 

 

 

사랑채 앞의 장독대 전경

 

 

 

 

 

 

 

 

 

 

 

 

 

 

 

 

 

사랑채 후면 담장 너머로 안채가 바라다 보이나 사람이 사는 집이다 보니

 들여다 보기가 곤란한 탓에 .......ㅎ

 

 

 

 

 

 

 

 

 

 

 

 

 

 

 

광서당 안내판

 

 

 

 

 

 

 

 

 

 

 

 

 

 

 

광서당 행랑채 전경

 

 

 

 

 

 

 

 

 

 

 

 

 

 

 

 

 

광서당 사랑채 전경

 

 

 

 

 

 

 

 

 

 

 

 

 

 

 

 

 

사랑채와 안채가 서로 붙어 있는 ㅁ 자형 구조의 고택으로 독특하게

 안채쪽에 전각이 있는 구조가 아주 독특합니다.

 

 

 

 

 

 

 

 

 

 

 

 

 

 

 

 

안채에 설치된 전각

 

 

 

 

 

 

 

 

 

 

 

 

 

 

 

 

 

 

 

 

광서당의 사랑채와 안채 측면 전경

 

 

 

 

 

 

 

 

 

 

 

 

 

 

 

 

 

 

 

 

 

 

덕용재 안내판

 

 

 

 

 

 

 

 

 

 

 

 

 

 

 

 

 

 

덕용재 사랑채 전경

 

 

 

 

 

 

 

 

 

 

 

 

 

 

 

 

 

 

 

덕용재 측면 전경

 

 

 

 

 

 

 

 

 

 

 

 

 

 

 

 

 

 

 

 

 

 

 

 

 

 

 

 

 

금당주막 전경

 

 

 

 

 

 

 

 

 

 

 

 

 

 

 

 

 

 

 

  

월당하옥 안내판

 

 

 

 

 

 

 

 

 

 

 

 

 

 

 

 

 

월당하옥

 

 

 

 

 

 

 

 

 

 

 

 

 

 

 

 

 

 

 

김대기 가옥

 

 

 

 

 

 

 

 

 

 

 

 

 

 

 

 

 

 

 

 

 

 

 

 

 

 

 

 

 

금당실 전통 체험관

 

 

 

 

 

 

 

 

 

 

 

 

 

 

 

 

 

 

 

 

 

 

떠나가는 가을에 잠시 시간내어 들려 본 금당실 마을은 작은 돌담길이 무척 정겨운

 그런 소박한 마을로 영남의 선비 문화가 살아 숨쉬며 아직도 그 것을 지키려는

 그런 마음들이 마을 사람들 가슴에 살아있는 그런 작은 마을이기도 하였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