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풍물패의 흥겨웠던 가락에 취했던 해미읍성의 봄(2015.4.12)

뽀다구 2015. 4. 20. 22:16

 

 

 

 

 

 

해미읍성 앞에서 태평소(날라리)의 취타 소리에 맞춰서 흥겨운 가락을 연주하는 해미 풍물패 전경 

 

 

 

멀게만 느껴졌던 용비지 진입 통제의 서러움을  다소 위안이라도 하려는 듯이

 해미읍성에서 조우했던  해미 풍물패의 흥겨운 가락에  잠시 도취되어 봅니다.

 

꿩 대신 닭이라고 애초의 사진 촬영 목적지는 용비지였습니다만 구제역으로 인한 통제로

 접근도 못한채 해미읍성에서 생각지도 않았던 해미 풍물패를 만났습니다. 

 

이런 까닭으로 여행은 의외의 변수가 항상 있기에 늘 즐겨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때론 제가 목적한 바를 얻지도 못할 때도 있지만, 이렇게 의외의 장소에서

 뜻하지도 않은 것들을 얻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해미읍성 동문 전경

 

 

 

 

 

 

 

 

 

 

 

 

 

 

 

 

태평소의 취타 소리에 무채색에서 유채색으로 변해가는 해미의 흥겨운 풍물패 

 

 

 

 

 

 

 

 

 

 

 

작은 면소재지의 주민들로 구성된 순수 농악대이겠지만 나름 질서 정연한 율동과

규율 탓에 연주도 훌륭하고 제법 내공이 깊은 풍물패란 생각이 듭니다.

 

이젠 이런 시골 풍물패 마져도 전수를 받으신 나이 드신 노인들이 많이 돌아가시는 탓에

이마져도 언제까지 유지가 되려는지 걱정이 앞섭니다.

 

우리의 소중한 이런 유형 문화가 이렇게 하나 둘 사라져 가는 아쉬움은........

 

 

 

 

 

 

 

 

 

 

 

 

해미읍성 정문인 진남문을 측면에서 바라다 본 전경

 

 

 

 

 

 

 

 

 

 

 

해미읍성(사적 116호) 안내

 

 

 

 

 

 

 

 

 

 

 

 

해미읍성의 정문인 진남문

 

 

 

 

 

 

 

 

 

 

 

조선시대의 무기들

 

 

 

 

 

 

 

 

 

 

 

 

솔개연

 

 

 

 

 

 

 

 

 

 

 

 

한국 교회사에 있어 약 3,000여명의 천주교 신자들이 천주교 박해로

 처형당한 천주교의 순교성지이기도 한 해미읍성 

 

 

 

 

 

 

 

 

 

 

 

 

 

 

해미읍성 관아문

 

 

 

 

 

 

 

 

 

 

 

동헌과 후면 객사 전경

 

 

 

 

 

 

 

 

 

 

 

역대 대통령 얼굴을 조각한 장승

 

 

 

 

 

 

 

 

 

 

 

청허정

 

 

 

 

 

 

 

 

 

 

성벽길을 따라 걷는 젊은 관광객들

 

 

 

 

 

 

 

 

 

 

 

 

 

 

용비지로 향했다가 잠시 들렸던 해미읍성의 봄은 노란 유채꽃이 만개 할

다음 주말이면 더욱 더 멋지리란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