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천년고찰 아미타 기도도량 무량사를 찾아서(2013.7.20)
뽀다구
2013. 8. 20. 12:01
천년 고찰 아미타의 기도도량 무량사 극락전 전경(보물 제356호)와
5층석탑 (보물 제 185호) 석등(보물 제 233호) 전경
무량사로 들어가는 주차장 상가 화단에 곱게 핀 베고니아
무량사 안내도
무량사 연혁
무량사 출입문 광명각
무량사를 들어가는 길에 있는 계곡
무량사 당간지주
천왕문
무량사 경내
요사채 (심검당)
범종각
무량사 5층 석탑(보물 제 185호)
무량사 석등(보물 제 233호)
명부전
명부전 내부 전경
무량사 극락전(보물 제 356호)
무량사 극락전 소조아미타삼존불(보물 제1565호)
무량사 극락전 전면 처마 배흘림의멋들어진 전경
무량사 측면 처마 배흘림의 멋들어진 전경
무량사 극락전 후면 전경
삼성각
요사채(스님 기도처)
원통전
김시습 초상(보물 제1497호)
생육신의 한 분으로 세조가 단종을 페위하고 왕위를 찬탈하자 세속을 버리고,
은둔형 삶을 산 조선시대 전기의 유학과 불교에 능통한 학자로
그가 은둔하며 지은 금오신화가 유명하다.
매월당 김시습은 경주 남산의 제 불로그 220번 경주 남산 탑곡 옥련암에
은거하여 금오신화를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통전 전면전경
원통전 내부 전경
영산전
영산전 내부 전경